<aside> 📁 기획하고 있는 서비스가, 어떻게 흘러가는지에 대해서 시간순으로 정리
</aside>
1월5일 : 설문조사 서비스 ( 사람들의 의견을 물을 수 있는 설문조사 앱은 어떨까? )
1월5일 : 호불호가 갈리는 주제에 대해서 A와 B로 나누어 선택지를 주고,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, 선택하는 동시에 다른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결과값이 수치로 보인다. —예시) 탕수육은? [ 찍먹 / 부먹 ], 나는 민트초코를? [ 좋다 / 싫다 ]
→ 이미, 수많은 설문조사 앱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 어떤식으로 차별화 전략을 세울 수 있을까?
→ 첨예하게 갈리는 논쟁주제 A와 B를
1월7일 : 단순히 호불호갈리는 주제를 던져주기보다, 구체적인 상황(스토리)를 제시한다.그래서 그 상황에서 사람들이 A와 B의 두가지 결과중 하나를 선택 > 마찬가지로 각 결과에 대해서 다른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는 지 알 수 있고, 친구들에게 공유하거나 sns에 업로드를 통해서 재미를 얻을 수 있고 + 사용자 참여형으로 서비스 확산이 가능할 것. ———예시) 깊은 잠에빠진 새벽2시, 처음듣는 목소리의 남성이 다급하게 도와달라고 현관문을 두드린다.. 이 때 당신의 선택은? [ 문을 열어본다🧐 / 갈때까지 조용히🤫 ]
<aside> 📁 기획하는 아이디어를,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의
</aside>
✍️ 정의 (플랫폼) : 밸런스 게임 (모바일 최적화 웹앱)
📌 목적 : 유행하는 밸런스 게임들을 스토리텔링으로 좀 더 공감가는 밸런스 게임을 제공하고,
다른 사람은 그 질문(밸런스 게임)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또한 쉽게 알 수 있게 함.
단순한 텍스트 위주보다는, 사진과 그래픽 이모지등을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풍부하게 구성.
🙍🏻♂️ 타겟 : 20-30대 sns를 주로 하는 + 심심한 상황 (할 게 없는, sns와 유튜브에서 볼 게없다 하는 사람)
👍 기대효과 : 공감 갈만한, 화제 될만한 밸런스 질문을 제시하여 그것에대해 사람들이 친구들끼리 서로 공유
하고 그 결과값(몇대몇)을 알 수 있어서, 이 질문에 대해서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다.
그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 건지에대해서 찬반을 얘기하면서 이야기 주제로 삼을 수 있고, 사용자들끼리